
2015개정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공동체에서 내가 속한 분과는 '교과와 비교과 재구성'에 대한 학습을 하고 있다. 팀장이신 교육정책과 장학사님이 우리 팀원에게 부여한 과제를 나름의 생각대로 풀어가던 중 몇 가지 의문점과 제기해야 할 문제점이 생겼다. 그 부분에 대해 머리속에서 엉켜있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글로 한 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꼭 해야 하나? 내가 속한 연구회는 '2015개정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공동체'다. 내년(2017) 초등 1~2학년부터 적용되는 2015개정교육과정의 특징(학습량 축소와 그에 따른 수업 재구성, 일반역량과 교과별 역량)을 이해하고, 학교 현장 적용 전 '교과 내 재구성, 교과 간 재구성, 교과와 비교과(창의적 체험활동) 재구성, 핵심역량 중심의 재구성 사례..

내년 초등 1~2학년부터 적용되는 '2015개정교육과정'을 받아들이고 연구하기 위해 몇몇 선생님이 '2015개정교육과정 수업탐구 공동체'를 조직했다. 나도 그 연구회에 발만 살짝 담그려고 했는데, 갑자기 이런 뚱딴지 같은 요구를 해 왔다. "각자에게 '교육과정'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정의해 오시오." 글쎄... 교사에게 교육과정은, 마치 평소 숨을 쉴 때 공기의 존재를 크게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너무 당연하게 수업을 둘러싸고 있는 것 같아서 솔직히 여태껏 아무런 생각이 없었다. 그런데 이런 막연한 정신적 공격에 멍하고 있다가 2009개정교육과정과 2015개정교육과정 총론을 살펴보면서 몇 가지 생각을 정리해 적어보았다. 다음은 그에 대한 생각이다.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이 정도 글은 굳이 총론을 안 ..
- Total
- Today
- Yesterday
- G Suite for education
- Chromebook
- 구글 설문지
- 한글
- Ok Goldy
- 왕구 도서관
- ZOOM
- 구글 클래스룸
- 코로나19
- 왕구쌤
- 소설
- 쌍방향
- 크롬북
- 온라인 개학
- chrome
- G Suite
- 웨딩싱어
- 왕구소설
- 사용자 추가
- 전문적 학습공동체
- 문단모양
- 원격수업
- Excel
- e학습터
- 구글 미트
- 독서록
- Google Classroom
- Hangout Meet
- 관리콘솔
- 왕구 소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