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학년도부터 초3과 중1을 책임교육학년이라고 해서 기초학력부분에서 특별 관리하게 됩니다. 그것도 교육부에서 지정한 거랍니다.올해 초3 담임을 맡게 된 이상 '응~ 그래'하고 넘어갈 수 없었습니다. 매년 만나는 읽기, 쓰기, 셈하기를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만나지만 초3은 특히 곱셈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개인적 판단으로는 2학기가 되면 두 자릿수x두 자릿수 곱셈을 하게 되면서 더욱더) 수학을 힘들어하고 멀리하는 아이들이 나오기 때문이죠. 그래서 교과서 내용에 준하는 학습 과정을 따라가면서 더 자주 반복 학습할 수 있는 자료를 찾던 중 좋은 자료가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우선 우리 반 아이들이 수학기초플러스를 활용하는 모습을 잠깐 보겠습니다. (처음 두 사진은 아침 활동 시간에 수학 공부를 하는 모습이고..

7월 18일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과 그 동안 교사 개개인이 감내하며 담아두었던 교권 추락의 일들로 학교는 요즘 힘들고도 중요한 시기를 한 발 한 발 밟아나가고 있습니다. 그와 관련해서 오늘 교육부에서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문'이 나왔습니다. 생활지도와 훈육 관련하여 몇 가지 안을 내긴 했는데, 개인적으로 그 실효성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입니다. 학습에 방해가 되는 학생을 수업시간에 교식 밖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데, 과연 그게 가능할까? 그런 아이가 반마다 한두 명씩만 있다고 해도, 초등의 경우 6개 학년이 학년당 3개 반이라 치면 그 합이 18명이나 될 겁니다. 만약의 경우, 그 18명이나 되는 아이가 한 번에 교실 밖으로 나가게 된다면 그걸 누가 또 감당할 수 있을까요? 그리..

2021학년도에는 처음으로 영어 전담교사를 해 봤습니다. 절대로 원해서 한 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나름 수업 자료도 만들어서 재미있게 수업해 보려고 노력했었습니다.(만족도는 학생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어느 학년, 어느 교과든 마찬가지겠지만 학기말에는 교과 진도가 다 끝나고 자투리 시간이 있죠?! 저한테는 2시간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과 학년 말을 정리하면서 재미있게 보낼 수 없을까 하다가 생각한 게 '영어로만 대화하는 스피드 퀴즈'였습니다. 일단 결과는 학생들 모두 만족스러워했고, 교사 입장에서도 학생들이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전제 1. 4~5인 한 모둠으로 구성한 모둠학습 2.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디바이스 활용 ..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일상이 되면서 ZOOM, Google Meet, MS TEAMS 이용이 너무 보편화 됐죠. 작년엔 낯설어 하던 꼬맹이 초등 3학년들도 올해 4학년이 되어선 원격수업에 많이 익숙해졌을 겁니다. 그런데 이제 메타버스로 수업 하는 교실들도 있네요. 작년부터 (사실 그 전부터 나오긴 한 말이지만) 메타버스란 용어를 주변에서 자주 듣습니다. 그 내용은 간단한데 이걸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낯설어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물론 시도교육청별로 연수를 많이 하고 계시긴 하죠.) https://www.gather.town/ Gather | A better way to meet online. Centered around fully customizable spaces, Ga..

원격 수업 시 학생 가정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e학습터 접속 장애 및 학습진도율 오류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이에 대해 학생들이 수강을 했는데, 진도율이 안 올라왔다고 연락하는 일이 많아 담임선생님들은 일일이 확인해 보느라 업무가 과중 되고 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생의 학습 참여가 확실한데 진도율이 다를 경우, 담임교사 책임 하에 학생 진도율 및 학습 시간을 수정하는 기능이 적용되었으니 첨부 슬라이드를 보시고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원격수업이 각급 학교에 들어온 지 벌써 1년이 넘었습니다.조금씩 자리를 잡아가고 불편 사항도 수정되고 있네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위축된 분위기도 있지만 선생님과 학생 그리고 재택 근무를 하는 모두가 원격 수업 및 업무 플랫폼에 익숙..

학교 선생님들은 학년초에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수업 중에 학생의 수행정도를 확인/관찰 후 평가하고 피드백을 주고 있습니다. 일단 먼저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가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데요. 보통 3단계(상/중/하) 평가를 할 때, 성취 기준별 성취수준(평가기준)을 적어넣기가 어렵죠.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을 정리해 놓은 자료도 있지만 일일이 찾아보면서 하기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닙니다. ※ 참고로 각 학교급별 평가기준이 나온 에듀넷 티클리어 링크를 걸어둡니다. 각 학교급, 학년군별, 교과별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이 들어와 있습니다. https://www.edunet.net/nedu/ncicsvc/listTchBoardForm.do?boardNum=12&menu_id=639 www.edunet.net 그래서 ..

전국이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2/3 등교를 하고 있는 학교가 아직 많습니다. 때문에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하고 있죠. 어쩔 수 없는 원격수업의 수요 때문에 올해 e학습터는 엄청난 진화를 거듭했습니다.(초창기 모습과 비교하면 정말 환골탈태가 아닐 수 없죠.) 그런데 그 진화의 과정과 결과가 슬며시 적용 되는데다 변화의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하고 결정적으로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사용하는 교사나 학생들이 그 기능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너무나 아쉽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0년 하반기(11월 4일 기준) e학습터 기능 개선 안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e학습터 기능 개선 알림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각 시도별 e학습터에 접속하면 초기 화면에 위와 같은..

원격수업을 하다 보면 말하기(국어, 영어)나 노래(음악) 부른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하면 과제를 제출할 때파일 첨부를 해서 제출하면 되지만, G Suite 계정이 없어나 구글 클래스룸 사용을 하지 않는 학급은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닙니다. 그런데 웹 주소 링크만 걸어주고, 학생들은 로그인 없이 음성 녹음을 할 수 있는 좋은 서비스가 있어서 안내하려고 합니다. 1. SpeakPipe에 회원 가입(교사만) SpeakPipe로 접속해 주세요.(아래 사이트 링크 첨부) SpeakPipe - receive voice messages from your audience directly on your website. Receive voice messages from your audience..
- Total
- Today
- Yesterday
- 왕구소설
- G Suite for education
- 관리콘솔
- 원격수업
- ZOOM
- Excel
- 구글 클래스룸
- 사용자 추가
- 온라인 개학
- e학습터
- 전문적 학습공동체
- 문단모양
- 독서록
- G Suite
- 쌍방향
- 한글
- 왕구 소설
- Chromebook
- 왕구쌤
- 웨딩싱어
- 왕구 도서관
- Hangout Meet
- chrome
- 구글 설문지
- Ok Goldy
- Google Classroom
- 구글 미트
- 소설
- 크롬북
- 코로나19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