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로 학교별로 체험학습 신청일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가족동반체험학습만 신청한다면 지류 신청서로 받으면 좋겠지만, 원격수업이 많아진 요즘은 지류로만 신청 받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온라인으로 받으면 편리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제가 속한 학년에서 만들었던 설문지를 공유합니다. 보고서는 지류로 받긴 했으나 이 부분도 가정에서 작성 후 PDF나 이미지로 제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보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좋은 의견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신청서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학년, 반, 학생명, 보호자명, 보호자 연락처, 체험학습 신청일과 기간, 체험학습 형태, 체험학습 목표, 활동 내용 등입니다. 설문 링크를 학급 커뮤니티나 학교 홈페이지(학교 전체가 사용할 때)에 올려두면 아래처럼 응답 링크를 받..

지난 번에 구글 설문지로 자료를 응답받고 스크립트 편집기의 트리거를 이용해서 결과를 자동 정렬시키는 글을 올렸습니다. (아래 글 참고) [G Suite] 구글 설문지로 받은 응답, 자동 정렬시키기(feat. 매크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교사들은 수업 콘텐츠를 제작하고 업로드 한 다음 학생들이 수업에 잘 참여했는지 확인해 보는 방식으로 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단지 출석률과 진도율만으로는 학 wanggussam.tistory.com 그런데 제가 '반'이 표시된 열만 색깔을 구분지어서 목적 달성은 했으나 그다지 예뻐 보이진 않았습니다.(아래 이미지 참고) 이번에 사회 1학기 단원 마무리를 구글 설문제 퀴즈로 해 보았는데, 타임스탬프, 점수, 반, 번호에 15문항이 들어가니 열이 많아져서 모니터 한 화..

원격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교사들은 수업 콘텐츠를 제작하고 업로드 한 다음 학생들이 수업에 잘 참여했는지 확인해 보는 방식으로 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단지 출석률과 진도율만으로는 학생들이 수업에 제대로 참여했는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몇몇 선생님들은 과제를 제시한다든가 퀴즈를 통해 형성평가를 하고 있죠. 퀴즈나 설문지 작성에는 또 구글 설문지가 딱이지 않습니까? ^^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구글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배포하면 응답 시간 순으로 스프레드시트에 자료가 작성됩니다. 그런데 선생님들은 제출된 자료를 반별 혹은 번호순으로 자료를 정렬해서 보고 싶을 겁니다. 그럴 때 우리는 자동으로 자료를 정렬시켜주는 구글 스프레드시트 매크로와 JavaScript 트리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준비하기(구글 설문..
이전까지 Google 설문지를 생성해서 응답자들에게 배포하는 것을 설명드렸습니다. 워낙 졸필이라 제가 쓴 글만 읽고는 이해가 안 가실 것 같아 염려스럽습니다. Google은 도움말 기능이 워낙 잘 되어 있으니 제 설명에도 불구하고 중간중간 막히시는 부분은 Google도움말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약간 고급(?) 기능이라고 할 만한 부분인데요, 그냥 설문지를 배포하고 받는 것까지만 해도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 글은 안 읽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간단한 질문조차 응답자들은 질문자의 기대와 예상을 벗어나 버리곤 합니다. 문항을 작성할 때 보통은 자신이 예상한 대로 응답자가 답을 해 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설문지 작성자의 착각이죠."몇 학년 몇 반입니까?"라는 간단한 질문..

Google 설문지를 작성부터 배포 그리고 응답 수신까지 한 번에 설명하는 것이 맞지만 글이 길어지면, 읽다 포기하실까봐 중간에 살짝 끊어봤습니다. (우리들의 짧은 인내심이 텍스트를 길이 마저 짧게 만든 건 아닌지 서글프네요.) 조금만 더 힘을 내서 읽어주시면 Google 설문지 따위 아무것도 아닌 문서 중 하나가 됩니다. 화이팅! 이번에는 작성한 설문지를 배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배포는 간단합니다. 다만 여기에 구글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옵션을 설정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몇 가지 절차를 따라 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메뉴부터 보겠습니다. 색상팔레트 : 설문지 배경색을 바꾸거나 배경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 자신이 만든 설문지가 배포했을 때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지난 시간까지는 크롬북에 구글 계정을 등록해 보고, 구글 클래스룸에서 학급을 개설한 후 과제나 공지사항을 학생들에게 배포하는 것을 공부했습니다. 과제를 배포할 때(반드시 과제라기 보다는 수업시간에 사용할 학습활동이라고 보는 게 더 적합하겠죠?), 가장 중요한 것은 선생님의 수업 설계 목적에 맞는 문서 양식이겠죠? 수업과 관련 없는 문서 공유와 과제 배포는 그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미리 꼭 선생님들이 구글 문서나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에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서식을 적절하게 만들어두시는 편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여기서 문서는 한글이나 MS Word, 스프레드시트는 한셀이나 MS Excel, 프레젠테이션은 한쇼나 MS PowerPoint와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서 한컴이나 MS Offi..
- Total
- Today
- Yesterday
- Excel
- 왕구 도서관
- 구글 미트
- 독서록
- G Suite for education
- 크롬북
- e학습터
- 원격수업
- 구글 설문지
- 쌍방향
- 전문적 학습공동체
- 구글 클래스룸
- 웨딩싱어
- 온라인 개학
- chrome
- G Suite
- 문단모양
- Ok Goldy
- Hangout Meet
- 왕구소설
- Chromebook
- 한글
- 왕구쌤
- 사용자 추가
- 코로나19
- 소설
- 왕구 소설
- ZOOM
- 관리콘솔
- Google Classroo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