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블로그 댓글을 하나 받았습니다. (관리도 안 하는 블로그에 방문하셔 친히 댓글까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꾸벅) 내용은 새 학기를 맞아 게임 사이트를 막고 싶은데, 댓글 작성자님이 적어주신 사이트 외에 다른 사이트가 있으면 함께 공유하자는 것이었습니다. 학교를 1년 간 떠나 있던 저한테는 너무 감사한 정보였습니다. 더불어 죄송하게도 저는 그에 대한 정보는 없었죠. NAVER에 '학교에서 게임 사이트 접속'이라는 검색어를 넣어보니 위와 같이 막힌 걸 뚫는 방법들이 다수 나오더군요. 학교는 교육청 인터넷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육청에서 몇몇 불건전 사이트를 막긴하지만 그런 사이트가 좀 많아야죠. Google WorkSpace를 적용해서 크롬북이나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사용하는 학교는 그때 그때 알게 된..

지난 달, MS에서 Internet Explorer와 구형 Edge 브라우저에 대한 기술 지원을 종료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공교롭게도 얼마 전 제가 '웹 브라우저 사용 기록 남기지 않고 사용하기'라는 글을 통해 브라우저 이용 순위에 대해 언급했었는데, 그때 2019~2020년 상반기까지 PC 웹 브라우저에서 Chrome이 1위, IE가 2위를 차지했던 게 생각나네요. 웹 브라우저 사용 기록 남기지 않고 사용하기 가끔 공공장소에서 컴퓨터로 인터넷을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도서관, 은행, 학교, 주민센터 등등. 아~ 요즘은 코로나19 때문에 그마저도 힘들겠네요. 아무튼 공공장소에서 공공 컴퓨터로 인터�� wanggussam.tistory.com 학교에서 NEIS를 열려면 IE로만 열 수 있어서 어쩔 ..

가끔 공공장소에서 컴퓨터로 인터넷을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도서관, 은행, 학교, 주민센터 등등. 아~ 요즘은 코로나19 때문에 그마저도 힘들겠네요. 아무튼 공공장소에서 공공 컴퓨터로 인터넷 접속을 하면 조금 께름칙합니다. 내가 접속한 웹 사이트 접속 기록과 쿠키가 남아서 다른 사람이 마음 먹으면 볼 수 있으니까요. 더보기 여기서 잠깐! 인터넷에서 '쿠키'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시 파일로 이용자가 본 내용, 상품 구매 내역, 신용카드 번호, 아이디(ID), 비밀번호, IP 주소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정보파일 쿠키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시 파일로 이용자가 본 내용, 상품 구매 내역, 신용카드 번호, 아이디(ID), 비밀번호, IP 주소 등의 정보..

Google Classroom에 변화가 있어서 조금 당황했습니다. 처음엔 학생이 제출한 자료를 확인하는 부분의 인터페이스만 바뀐 줄 알았는데, 아예 새로 만드는 Classroom은 페이지 자체가 다르게 나오네요. 혹시 저처럼 당황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사용 방법에 대해 간략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Before / After 화면 비교 위에 있는 좌우측 화면에서 다른 부분을 몇 가지 찾아 볼까요? 왼쪽은 예전 Classroom 화면, 오른쪽은 새롭게 바뀐 화면 구성입니다. 1. 먼저 상단 메뉴가 구형은 [스트림], [사용자] 이렇게 2개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화면은 [스트림], [수업], [사용자] 3가지로 편성 되었습니다. 2. 기존 화면은 좌측 메뉴가 조금 많았죠. 수업 드라이브, 캘린더 그리고 수업 ..
지난 번에 학생의 크롬북(혹은 데스크탑) 화면을 교사용 컴퓨터 화면으로 전송시키는 (그 반대의 경우도 활용할 수 있는)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Google Cast for Educatio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부하고 나눔/IT 공부하고 나눔] - Google Cast for Education으로 학생 크롬북, 교사 화면에 띄우기 그런데 Google Cast for Education은 1:1 전송만 가능하기 때문에 교사가 학생 전체에게 일괄적으로 화면을 전송할 수가 없어서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 아쉬움을 조금 덜어줄 수 있는 도구로 Share to Classroom을 소개합니다. 1. Chrome 웹 스토어에서 Share to Classroom 설치하기 Share to Classroom을..
지금은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한 교육방법이 되었지만, 불과 5~6년 전만 해도 '스마트 교육'은 몇몇 선생님들에 의한 실험적이고 자발적인 수업 방법이었습니다. 더군다나 교사들이 수업에 먼저 적용하기 시작한 후 교육청에서 뒤늦게 정책을 내놓고 추진했으니 일대 (교육) 혁명 아닌 혁명에 가까웠다고 할 수 있죠. 그 교육 혁명 중에서 가장 Hot 한 기능 중 하나가 바로 '미러링'이었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화면을 다른 주변 장치에 보여주는 미러링은 스크린 캐스팅이라고도 불립니다. 넓은 교실에서 학생들의 활동 장면을 선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신박함 때문에, 미러링은 초등 교사들에게 유선보다는 무선이 더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런데 그 관심이 좀 과하게 싶을 때도 있었죠. 스마..
훨씬 전에 안내해 드렸어야 하는 내용이지만 어찌하다 보니 순서를 놓쳤습니다. 우리 학교에 크롬북을 사용하시는 선생님들이 많아져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뭔가 변화하는 느낌을 받아 뿌듯할 지경입니다.) 그런데 일반 데스크탑에서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신 후 구글 드라이브, 캘린더 등은 잘 사용하시면서 브라우저에 계정 등록이 된다는 걸 모르시는 분들이 제법 많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의외로 방법은 간단합니다. 크롬 브라우저 창 숨김 버튼 왼쪽에 있는 사람 실루엣 모양의 작은 버튼이 그 비밀입니다. 그런데 브라우저에 계정이 하나도 등록되지 않은 경우가 있고, 이미 등록된 계정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 경우에 맞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결국은 같은 방..
- Total
- Today
- Yesterday
- 관리콘솔
- ZOOM
- 웨딩싱어
- 원격수업
- Chromebook
- Ok Goldy
- Excel
- 구글 미트
- 소설
- 왕구 소설
- chrome
- 문단모양
- 전문적 학습공동체
- G Suite for education
- 한글
- 왕구 도서관
- 구글 클래스룸
- Google Classroom
- 사용자 추가
- 코로나19
- 왕구쌤
- e학습터
- 크롬북
- Hangout Meet
- 구글 설문지
- 독서록
- 온라인 개학
- 왕구소설
- 쌍방향
- G Suit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